3. 《훈민정음》 해례본과 언해본은 어떤 책인가요?




《훈민정음》 해례본과 언해본은 어떤 책인가요?


《훈민정음》 해례본은 ‘훈민정음’ 문자 해설서이자 문자 이론서이다. 훈민정음은 세종이 창제한 것이지만, 이 책은 세종을 비롯한 정인지, 최항, 박팽년, 신숙주, 성삼문, 이개, 이선로, 강희안 등 9명이 함께 저술했다.

세종대왕은 1443년에 훈민정음 28자를 창제하고, 그에 대한 자세한 해설(풀이)과 용례(보기)를 붙여 1446년 음력 9월 상순에 《훈민정음》이라는 책으로 펴냈다.
이 책에는 특별히 ‘해설’과 ‘용례’가 갖추어져 있어 《훈민정음》 해례본이라고 부른다.

《훈민정음》 해례본에는 한글을 만든 목적과 근본 뜻, 창제 원리, 운용 방법 해설, 역사적 의미를 비롯해 새 문자의 다양한 예들이 실려 있다. 세종대왕이 직접 쓴 서문에는 한자로는 우리말을 제대로 적을 수 없어서 우리말에 적합한 새 문자를 만든다는 자주 정신, 한자를 모르는 백성들도 쉬운 문자로 마음껏 소통할 수 있게 하려는 애민 정신, 그리고 모든 백성들이 우리 글자를 쉽게 익혀 편안하게 살게 하려는 실용 정신 등이 담겨 있다.

이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. 앞부분 정음편(예의편)은 세종대왕이 지었고, 뒷부분 정음해례편(해례편)은 집현전 학사 정인지, 최항, 박팽년, 신숙주, 성삼문, 이개, 이선로, 강희안 등 여덟 명이 함께 지었다.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‘나랏말미’로 시작되는 언해본은 세종대왕이 지은 정음편(예의편)을 우리말로 번역하고 풀이한 책으로, 1459년(세조 5)에 간행된 〈월인석보〉 앞머리에 실려 전하고 있다. 세종대왕이 직접 펴낸 《훈민정음》 해례본은 오랜 세월 알려지지 않다가 1940년에 경상북도 안동에서 발견되었다. 그 책을 간송 전형필 선생이 사들여 지금은 간송미술관(서울 성북구)에서 소장하고 있다. 이 책은 1962년에 대한민국 국보 제70호로 지정되었고, 1997년에는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. 2015년에는 간송미술문화재단에서 복간본을 펴냈다.

▲ 《훈민정음》 해례본(한글학회 교정본). 세종이 직접 저술한 ‘정음편’ 첫째 장(정음 1ㄱㄴ)

▲ 《훈민정음》언해본



◀️이전

목차

다음▶️




<참조 및 저작권 표시>

참조 : <<훈민정음 해례본>> 해설 및 설명 : 제자원리

세계인을 위한 할글 이야기 3+5(The Story of Hunminjeongeum and Hangeul for People Around the World 3+5)

이자료는 세종국어문화원, 전국국어문화원연합회 펴낸 자료를 지은이(김슬옹)의 허락을 받아 그대로 옮겼음을 밝힙니다.



관심 있을 만한 글:

댓글 없음:

댓글 쓰기